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교통사고 사망자 20년래 최다…“코로나 기간 위험운전 늘어”

교통사고 사망자가 20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고 로이터 통신이 17일 보도했다.   교통사고가 갑자기 늘어난 것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팬데믹 기간 과속 등에 대한 경찰의 단속이 줄어 운전자의 위험 운전이 늘어났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전국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올해 1분기 교통사고 사망자는 작년 동기 대비 7% 늘어난 9560명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이날 밝혔다. 이는 20년 전인 2002년 1분기 이후 최고치다.   교통사고 사망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면서 치솟기 시작했다고 NHTSA는 설명했다. 지난해 연간 사망자는 전년 대비 10.5% 불어난 4만2915명에 달해 2005년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도로가 상대적으로 덜 붐비면서 일부 운전자가 경찰 단속이 느슨해질 것으로 여기고 위험한 운전 습관을 키웠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NHTSA 집계에서도 과속, 안전벨트 미착용에 따른 사고가 코로나 이전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보행자 사망은 13% 증가한 7342명에 달해 1981년 이후 최고치를 보였고, 자전거를 타고 가다 숨진 사람도 5% 늘어난 985명으로 1980년 이후 가장 많았다.   NHTSA 스티븐 클리프 국장은 “사고 통계 숫자는 여전히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면서 “모든 주가 교통안전을 위해 단호해져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음주운전 반대 단체인 MADD는 이날 성명을 내고 “길에서 일어나는 살인 행위를 멈출 노력이 부족하다”며 정부 대책을 촉구했다.교통사고 위험운전 교통사고 사망자 코로나 기간 코로나 이전

2022-08-18

[사설] 코로나 이전 복귀 더욱 신중해야

 코로나19 확산세가 약화되면서 이전 생활로의 복귀가 이어지고 있다. 캘리포니아주에서 가장 늦게까지 실내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했던 LA카운티도 자율로 돌아갔다. 다만 LA통합교육구는 실내 마스크 착용을 당분간 유지할 방침이다.   일부 제한이 남아 있지만 ‘위드 코로나’로의 전환은 전국적인 추세다. 한때 전국 하루 확진자가 80만 명 넘게 치솟았지만 상승세가 수그러들면서 현재는 5만 명 아래로 내려갔다.     그럼에도 코로나19의 위험은 상존한다. 새로운 변이 출현과 확산세 증가에 대비해야 한다. 화이자의 앨버트 불라 최고경영자는 지난 13일 향후 수년간 코로나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연말 4차 접종 가능성을 전망하기도 했다.     코로나 확산세가 꺾이면서 각종 규제가 해제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지난 2년 동안 소매 자영업자들은 방역지침 시행으로 영업상의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팬데믹이 끝난 것은 아니다. 확진자 수가 줄기는 했지만 여전히 발생하고 있고, 병원을 찾는 중증환자와 사망자도 그치지 않는다.     코로나19의 종식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한순간의 방심이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을 만들 수도 있다. 생활의 모든 면에 막대한 피해와 불편을 준 코로나의 완전 퇴치를 위해 의무가 아닌 자율로 위생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사설 코로나 복귀 코로나 확산세 위드 코로나 코로나 이전

2022-03-16

[문화 산책] 위드 코로나 시대의 ‘우리’

얼마 전 한국에 열린 음악회를 유튜브로 감상했다. 참 기묘하고 낯설었다. 지휘자를 비롯한 오케스트라 연주자들이 마스크를 썼다(입을 써야 하는 관악기 연주자들과 피아니스트는 빼고). 그것도 시커멓고 커다란 마스크다. 게다가 어쩐 일인지 연주자들이 모두 검은 정장을 단정하게 차려 입었다. 장송곡이라도 연주할 듯 엄숙하고 묵직한 분위기다. 그런데 연주하는 곡은 모차르트의 피아노협주곡이다.   그러니 기묘한 느낌이 들 수밖에 없다. 그리고 생각한다. 아, 이런 것이 이른바 ‘위드 코로나’의 한 모습인가? 마스크로 얼굴을 가리고 연주하는 음악을 마스크로 단단히 무장하고 감상하고… 그렇게 안전하고 품위 있게 인생을 즐긴다? 가수도 마스크를 쓰고 노래 부를 판인가? 가슴이 답답해진다.   연극 공연이나 미술전람회처럼 현장의 숨결이 중요한 분야의 작품들도 집에서 영상으로 감상하는 데 익숙해졌다. 이른바 비대면 온라인 공연이라는 것인데, 수박 겉만 핥고 다 먹었다고 여기는 격이다.     전염병 때문에 그렇게 세상이 바뀐다고 호들갑이다. 그러니까, 완전히 물리칠 수 없으면 견디는 수밖에 없다, 코로나도 독감처럼 여기고 예방주사 맞아가며 함께 살아라, 사망자로 따지자면 독감이나 엇비슷하니 너무 겁먹을 것 없다… 뭐 그런 이야기다. 그걸 ‘위드 코로나’라는 낱말로 그럴듯하게 포장한 것이다. 우리말로 옮기자면 ‘코로나와 함께’가 되려나? 꼴 보기 싫은 사람과 함께 밥 먹는 기분처럼 더럽다.   코로나 때문에 우리 삶의 모습이 근본적으로 변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그에 반해, 한 두 해 어렵다고 수천 년 쌓아온 인간의 삶이 쉽사리 바뀔 리 없으니 너무 요란 피우지 말라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다른 것은 몰라도 사람과 사람의 관계는 많이 달라질 것 같다. 사람들은 이미 거리두기나 비대면에 익숙해졌고, 혼자 살기에도 많이 길들여졌다. 아무래도 코로나 이전처럼 끈끈하지 못할 것은 분명해 보인다. 휴대전화니 온라인 소통 같은 것이 극성을 부리는 판에 코로나가 겹쳐서 변화가 한층 클 전망이다.   인간은 혼자서 살 수 없다고 굳게 믿으며 공동체의 끈끈한 정을 소중하게 여겨온 우리 한국 사람들에게는 매우 심각한 변화다.     한때 ‘나들’이라는 낱말이 관심을 모은 적이 잠시 있었다. ‘나’의 복수를 ‘우리’ 대신 ‘나들’로 하자는 제안으로, 개성이 살아있는 개인인 나들이 모인 공동체가 바람직한 사회라는 주장이었다. 제법 설득력 있게 들렸다.   하지만 한국인 특유의 심성을 대변하는 ‘우리’라는 낱말을 대신할 만큼 힘을 발휘하지는 못했다. 얼마 전 한국어로 두 권으로 책을 펴낸 ‘토종 미국인’ 로버트 파우저(60)씨에게 “한국어 표현 중에 좋아하는 낱말을 꼽아 달라”고 했더니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고 한다.   “하나만 꼽자면 ‘우리’라는 말이요. ‘우리 선생님’이라거나 ‘우리 교수님’ 이런 식으로, 가족 관계가 없더라도, 당신을 존중한다는 의미로 ‘우리’라는 말을 붙이는 게 너무 좋아요. 미국에서는 굉장히 좁은 의미로만 ‘우리’를 사용하니까요.”   우리 한국 사람에게 ‘우리’라는 낱말은 단순한 나의 복수가 아닌 것이다. 설마 코로나 때문에 우리라는 정겨운 낱말이 사라지는 불상사가 일어나지는 않겠지. “우리가 남이가?”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 산책 코로나 위드 위드 코로나 코로나 이전 코로나 때문

2021-10-2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